써야 할까? 편도염에 항생제를

  1. 편도염이란?
  • 톤실이라고 적혀 있는 부위가 편도선(편도선)이라고 불리는 부위로 입안에 들어오는 병균에 대해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조직입니다. 이러한 편도에 바이러스나 세균 등이 감염되어 인후통, 발열, 인후 발적 등을 유발하는 경우를 편도염이라고 부릅니다.

2) 언제 항생제 써야하나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질병관리청-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더 이상 번식시키지 않는 약으로 바이러스나 진균류(곰팡이)에서는 효과가 없으므로 세균성 감염이 의심될 때 사용해야 합니다.

  • 대부분의 편도염은 바이러스(rhinovirus, adenovirus, influenzavirus, coxsackievirus, coronavirus, echoviratory syncytialvirus, metapneumovirus) 감염증이므로 항생제 사용을 할 필요가 없고 소염진통제 및 휴식 등으로 대증요법(증상을 조절하면 호전됩니다.
  • – 그러나 세균성 감염(group Astrptococcus가 흔하다)의 경우 항생제를 사용해야 빠르게 호전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호소하는 증상과 신체진찰을 종합하여 Central이라는 점수를 내 항생제 사용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 – Central score는 1981년에 고안되어 사용 중이며 1998년에 연령에 대한 기준을 추가한 변형된 centor score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항목으로는 ①체온이 38도를 넘는지 ②기침을 하지 않는지 ③눌렀을 때 전방림프절의 통증을 호소하면서 커지고 있는지(림프절염이 있는지), ④편도의 비대나 삼출물이 끼어 있는지 ⑤연령이 어떻게 되는지가 있습니다.

Group Astrptococcus 항원검사 키트 – 점수를 산출하여 3점 이상인 경우 영국의 경우 항생제 사용을 권고, 한국의 경우 3점 이상인 경우 항원검사(간이 코로나 검사키트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나와 있음)를 시행하여 양성의 경우나 항원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 항생제 사용을 권고하나 미국의 경우 정확히 항원검사를 하거나 배양검사를 하여 정확한 원인균이 나올 때까지 항생제 사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이는 각국의 보건의료 상황과 합병증(류마티스열 등) 빈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4점 이상일 경우 항생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동의하나 2~3점의 경우 국가별로 권고하는 상황이 다릅니다. 브라질이나 개발도상국처럼 열악한 의료환경이나 합병증 빈도가 높은 곳은 2종 이상의 경우에도 항생제 사용을 권장합니다.

3. 항생제 사용 시 장단점은 무엇일까.- 장점 : 편도염으로 인한 증상 발생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합병증 빈도를 줄입니다.- 단점 :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내성균을 증가시키고 의료비용을 증가시킵니다.

세균성 편도염의 케이스가 신경 쓰이는 경우는 다음의 게시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http://blog.naver.com/cheon17/222539406748 날이 추워지면서 인후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하루 전부터 해열제를 먹어도 38도 blog.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