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 염증, 팔꿈치 신경, 터널 증후군 논문같이 보기

#팔꿈치염증 #팔꿈치신경 #팔꿈치터널증후군 #척골신경포착증후군

최근에 아는 원장님이 논문을 보내주셨어요.간단하게 리뷰해 보겠습니다.

이들 논문은 팔꿈치에서 척추신경이 포착돼 발생할 수 있는 척추신경병증에 관한 것입니다.증상은 손가락 4, 5 손가락이 저리거나 감각 저하, 악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있습니다.팔꿈치부터 손가락 통증, 때때로 등까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팔꿈치 염증으로 통증이 있으면 그 부근만 아프지만, 이렇게 안쪽 척추신경 문제가 있으면 손가락이나 어깨 방사통이 발생합니다.

Ulnar Neuropathydueto Cubital Tunnel Syndrome Causedby Anconeus Apitrochlearis : ACase Report 팔꿈치 터널 증후군은 손목 터널 증후군 다음으로 흔히 볼 수 있는 포착 신경병증입니다.이 논문에 나온 환자는 네다섯 손가락 사이에 불쾌감이 있었습니다.통증이 심해지고 팔꿈치 안쪽부터 견갑골 안쪽까지 통증이 계속되었습니다.그리고 손가락 운동이 떨어졌기 때문에 척추 신경 수술을 실시했습니다.ancone use pitrochlearis는 많게는 34%의 유병률을 가진 일반적인 해부학적 변이입니다.(ancone use pitrochlearis : 도르래 위의 낮근) 팔꿈치 터널 뒤쪽을 덮는 근육입니다.상완 삼두근의 연속된 근육으로 척골신경 탈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척골신경은 팔꿈치신경 중 안쪽을 지나는 신경입니다) 이 부분의 감압술을 통해 통증이 완화되었습니다.도르래상주근은 많게는 34%가 가진 일반적인 해부학적 변이입니다.삼두근 연장으로 척골신경 탈구를 보호합니다.오른쪽 그림의 화살표는 anconeuse pitrochlearis 입니다.MRI 상에서 척추 신경을 억제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이 됩니다.척골신경은 화살촉으로 T2 강조 영상에서 신호가 증가하면서 신경부종이 발생한 모습입니다.(포착증후군에서 초음파를 통해 이러한 신경부종을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계속 누르면 국소적으로 팔꿈치 염증이 생깁니다.

이 부근에서 osborne 인대에 의한 포착도 가능합니다.여기서는 osborne 인대에 의한 포착은 없었다고 합니다.anconeuse pitrochlearis는 척골신경을 보호하고 탈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osborne 인대는 anconeuse pitrochlearis 섬유질의 잔재가 될 수 있습니다.

팔꿈치 터널 증후군 수술을 한 환자로부터 anconeuse pitrochlearis(도르래 모양) 심근이 있는 경우는 4.5-5.4% 정도였습니다.그래서 증상이 있고 신경부종이 있을 때만 척추신경병증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는 osborne 인대보다 단단하지 않은 근육 성분입니다) AE(도르래 상량력근)는 직접 척추신경을 눌러 신경부종이 발생할 경우 팔꿈치 터널 증후군의 원인(cubital tunnelsyndrome)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화살표는 aconeuse pitrochlearis이고 화살표는 척골신경입니다.환자는 수술 후 2개월까지 감각은 개선되었지만 운동 기능은 개선되지 않았습니다.왼손 잡는 능력이 떨어졌는데요.수술 6개월째부터 악력이 회복되기 시작하여 12개월 후에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이 경우 남들보다 회복이 느린 편이었는데요.일반적으로 2-4주부터 회복이 시작되어 3-6개월 정도면 회복됩니다.운동신경이 손상된 주관증후군으로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회복됩니다.단, 회복이 지연될 경우 12개월까지 회복될 수 있습니다.

Ultra sound Diagnosis of Double Crush Syndrome of the Ulnar Nerveby the Anconeus EPitrochlearis and a Ganglion 척추신경에 의해 신경포착이 발생하는 것은 팔꿈치와 손목에서 가능합니다.이 논문은 doublecrushsyndrome이라고 해서 팔꿈치와 손목 모두에서 포착이 발생한 경우입니다.오른쪽 그림의 초음파를 보면 AE(도르래상주근)에 의해 압박되는 팔꿈치의 척골신경과(cubital tunnel) ganglion에 의해 압박되는 손목의 척골신경을 볼 수 있습니다. (guyontunnel) 척골신경은 주관(팔꿈치)과 가이온터널(손목)로 동시에 압박될 수 있는 이를 doublecrushsyndrome이라는 이 논문의 환자는 오른쪽 손가락의 저린 감각력 부족으로 내원했습니다.(팔꿈치 신경을 누르면 감각 이상이나 운동 이상이 발생합니다) 수술을 통해 팔꿈치의 (anconeuse pitrochlearis) 활차상의 낮근을 감압하고 손목에서 2cm 정도의 ganglion을 제거하였습니다.이 환자는 수술 후 증상이 호전돼 1년간 증상이 없었습니다.

손목과 팔꿈치로부터의 척추 신경 압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능합니다.arcade ofstruthers, medial intermuscularseptum, cubital tunnelretinaculum, aponeuroticarcade, osborne 인대, elbow deformity (기형)

논문에서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척추 신경의 이중 압박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보통 하나의 원인을 찾으면 초음파 검사를 멈추는 경우가 많은데 드물지만 이런 경우도 있기 때문에 꼼꼼히 검사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팔꿈치 터널 증후군은 주관 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혹은 척추 신경이 눌렸다는 의미로 척추 신경 포착 증후군이라고도 불립니다.논문 환자의 경우 척추신경에 대한 포착이 심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습니다.그러나 일반적인 주관증후군 환자는 침치료, 약침치료로도 충분히 좋아집니다.특히 경혈 초음파, 초음파를 활용하는 경혈점의 침이나 약침 치료는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은 수소음심경에 해당하는 경락과 비슷한 경로를 따릅니다.(팔꿈치신경 안쪽은 수소음심경, 바깥쪽은 수태음폐경이 지나갑니다) 이 연구에서는 네 번째 경혈인 HT4(영도혈)가 사용되었습니다.경혈에는 더 높은 밀도의 자유신경 종말, 촉각과 압력에 대한 더 높은 감각수용체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그리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말초신경병증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침치료의 경우 조직의 혈액관류를 증가시켜 전기생리학적 반응을 증가시킵니다.이 연구에서 침 치료는 척추 신경을 활성화했습니다.그 결과 더 적은 자극으로도 필요한 만큼의 감각을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이는 근육섬유의 동원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고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따라서 운동신경, 감각신경 기능이 저하되는 포착증후군으로 침 치료는 유용합니다.척추신경 경혈 연구에서 침 치료는 말초신경병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정리해 보면 주관 증후군의 원인은 척추 신경의 포착입니다.팔꿈치 신경의 하나인 척추 신경의 포착을 만드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이 중 anconeuse pitrochlearis(도르래상 주근)가 척골신경을 누를 수 있습니다.또한 ganglion(결절종)도 척골신경을 누르기도 합니다.4, 5 손가락의 새끼 손가락에서 저리고 악력에 힘이 빠지는 등이 증상으로 나타납니다.경혈 초음파를 이용한 침 치료, 약침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포착이 심한 경우 논문에 나오는 감압술 등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