및 간단한 사용법 (add, c ommit, push, pull) [Git] Git GUI – 소스 트리 설치

사실 소스트리가 GUI라서 너무 직관적이라;; 올릴 건 없지만 나중에 필요할 것 같아서 올려본다

  • 소스트리 설치 1. https://ko.atlassian.com/software/sourcetree or 구글에 소스트리 설치를 검색 후 연다.2. 처음에 bitbucket server, bitbucket을 선택하는 것이 나온다. bit bucket을 선택한 후 계정을 만들거나 다른 계정과 연동시킨다(기억나지 않지만 구글, 페이스북, 슬랙 등과 연동되었던 것으로 기억) 3. 설치 진행 중에 git, mercurial 설치하겠느냐고 묻는데 git은 이미 있으므로 체크 버튼이 나오지 않는다. mercurial 은 필요하다면 설치(난하지 않음) 4.preferences -> github 계정을 입력하면 된다.5. ssh는 하지 않아도 된다.
  • * 소스트리 사용법

새 탭을 열고 Add를 눌러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누르면 열기 완료! (git 저장소가 있어야 함) git init 해줌)

  • 간단한 사용법

이렇게 폴더를 열면 내가 지금까지 commit 한 내역을 볼 수 있다. 없음)아래 변경이 있는 경우는 스테이지에 오르지 않은 파일란에 존재한다.여기에 필요한 파일을 + 하고 아래 칸에 커밋 메시지를 적어준다(이때 계정이 맞는지 꼭 확인하자). 만약 계정이 없거나 다른 계정이면 상단의 툴, 옵션, 인증을 누르고 계정을 추가하면 된다(호스팅 서비스-Github, 인증 Basic) 설정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해당 계정이 기본 계정이 된다.

history를 클릭하면 첫 번째 내역을 볼 수 있다.

push, pull은 위의 버튼을 눌러 진행하면 된다 (특히 설명을 적는다… 누르기만 하면 Ok) push로 브랜치를 선택할 것

  • 참고내용 1. Git에서의 커밋이란? – 변경사항의 모음 (x) – 하나의 최종 코드 모음 (o) 2. 다만 기존의 커밋과 비교하여 변경된 파일이 아니면 ‘변경되지 않았다’라고만 저장할 뿐 용량은 무겁지 않다.- SVN은 바로 앞 커밋과의 변경점만 저장 – 그래서 커밋당 용량은 더 가볍지만 한 버전을 보려면 첫 커밋부터 계산해야 한다 -> 속도 느리다 – Git은 직전 커밋만 보면 된다 -> 속도 빠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